최근 중소벤처기업부가 소상공인의 공과금, 보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‘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사업’을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.
이 사업은 적은 금액이지만 실제로 소상공인에게 꼭 필요한 ‘디지털 포인트’를 지급하여 공과금, 보험료 등에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지원사업의 신청 조건, 신청 방법, 지원 내용 등을 쉽고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.
✅ 지원사업 개요
이번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사업은 전기, 가스, 상·하수도요금, 4대 보험료 등 소상공인이 매달 필수로 지출해야 하는 비용을 줄여주기 위한 사업입니다.
사업에 선정된 소상공인은 본인 명의의 카드에 500,000원의 디지털 포인트(크레딧)를 지급받아, 공과금 및 보험료 결제 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✅ 지원 대상
지원 대상은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1. 2025년에 개업한 소상공인
- 신청일 기준, 2025년 5월 1일 이전 개업자
- 신청일 기준 휴,폐업상태가 아닌 영업장
2. 2025년 상반기 부가가치세 미신고자
- 국세청에 상반기 매출 신고를 하지 않은 소상공인이어야 합니다.
3. 법인 또는 면세사업자도 신청 가능
- 단, 매출 증빙자료 제출이 필요합니다.
4. 업종 제한 있음
- 유흥업, 도박업, 담배 중개업, 가상자산 매매업, 사행성 게임 개발업 등 일부 업종은 지원이 제외됩니다.
자세한 제외 업종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
✅ 지원 제외 사례
- 다수 사업체를 보유한 경우: 한 사람당 1개 사업장만 지원.
- 금지 업종: 유흥주점, 성인용품 판매점, 도박 관련 업종 등은 신청 불가.
- 2024년에 매출이 없던 사업자: 2025년 상반기 매출 신고를 반드시 해야 함.
✅ 지원 금액 및 사용처
- 지원 금액: 1인당 500,000원 디지털 포인트 (크레딧) 지급
- 사용 가능한 곳:
✔️ 전기요금 (한전)
✔️ 가스요금 (지역 도시가스)
✔️ 상하수도요금
✔️ 4대 보험 사업주 본인 부담분
※ 단, 반드시 본인 명의의 카드만 등록할 수 있으며, 타인 명의 카드나 가족 카드 사용은 불가합니다.
✅ 신청 기간 및 부제 운영
- 신청 기간: 2025년 7월 1일 ~ 11월 28일 오후6시 까지
- 부제 시행: 7월 14일부터 7월 18일까지는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별로 신청
신청 일자대상자 (사업자번호 끝자리)
7월 14일 | 4, 9 |
7월 15일 | 0, 5 |
7월 16일 | 1, 6 |
7월 17일 | 2, 7 |
7월 18일 | 3, 8 |
- 7월 19일부터는 부제 없이 자유 신청 가능
✅ 신청 방법
-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누리집 접속
- 본인 인증
- 휴대폰 인증, 간편 인증, 공동인증서 중 선택 가능
- 신청서 작성
- 사업자등록번호, 업체명, 신청자 성명, 개업일 입력
- 매출 증빙자료 제출 (필요 시)
- 국세청 홈택스에서 카드 매출 내역, 세금계산서 내역, 현금영수증 내역, 주업종 코드 출력 후 제출
- 카드 등록
- 본인 명의 카드만 가능
✅ 주의사항
- 사업자등록증 ‘발급일자’는 신청서에 기재하지 않아야 합니다.
- 크레딧은 반드시 본인이 카드사 앱에서 사용 등록을 해야 사용 가능.
- 크레딧으로 고용보험료 납부 시, 중복 지원 제한 사업과 겹칠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.
- 다수 사업장 보유 시, 1곳만 신청 가능하며 중복 지원은 불가합니다.
✅ 문의처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전용 콜센터 : 1533-0600
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콜센터 : 1533-0100 (내선 2번)
✔️ 평일 09:00 ~ 18:00
✔️ 챗봇은 24시간 운영
소상공인이라면 이번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사업을 꼭 신청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. 적은 금액이라도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공과금, 보험료를 절약할 수 있고, 신청 절차도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어 시간도 절약됩니다.
신청 기간을 놓치지 마시고, 본인의 사업자 등록번호 끝자리를 확인하여 기간 내 꼭 신청하세요! 😊